플랫폼 비즈니스의 수익모델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과 수익 패턴
1.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페이스북, 아마존, 구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등 글로벌 탑 기업들의 비즈니스 모델을 살펴보면 한 가지 공통점이 있는데요.
그것은 이들 기업 모두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이란 사업자가 제품 또는 서비스를 직접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산자 그룹과 이를 필요로 하는 사용자 그룹을 서로 연결하는 것입니다.
사업자는 생산자 그룹과 사용자 그룹이 플랫폼 내에서 활발한 거래가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가치를 생성하고 궁극적으로 수익을 창출합니다.
월 스트리트 저널(The Wall Street Journal)과 다우존스 벤처소스가 매월 공동으로 발표하는 'The Billion Dollar Startup Club' 2018년 발표에서 상위 10개 중 7개는 플랫폼 비즈니스 기업이었습니다. 이들의 가치평가(valuation)합은 약 2천4백억 달러로 세계 최대 유통업체인 월마트와 유사한 수준인데요.
2018년 글로벌 시가총액 상위에 랭크되어 있는 대다수도 플랫폼 기업입니다.
2008년만 해도 엑손모빌, 페트로브라스, 중국공상은행 등 에너지와 은행·금융 분야의 전통 거대 기업들이 상위권에 포진되어 있던 것과 비교해보면 놀라운 변화입니다.
이 시대의 경제와 비즈니스가 구조적으로 변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순수하게 파이프라인 형태를 고수해온 전통 기업들의 시장에 플랫폼 기업이 진입하면 플랫폼이 승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글로벌 유니콘 기업들은 전통기업이 고수해온 시장에 집입하여 기존 상위기업들을 합친 것보다 많은 시장가치를 인정받은 사례도 있습니다.
유니콘 기업이란 기업가치가 10억 달러를 넘는 비상장 기업을 뜻하는 단어로 유니콘은 전설로만 존재하는 동물이죠? 상장도 안한 스타트업의 가치가 1억 달러를 넘는 것이 그만큼 어렵다는 의미로 유니콘 기업이라고 부릅니다.
2020년 말 에어비앤비의 시장가치는 글로벌 호텔체인 3사 매리어트, 힐튼, 인터컨티넨털 호텔의 합친 것을 넘어섰고, 2018년 우버의 시장가치는 미국 완성차 3사 GM, Ford, 클라이슬러의 시가총액의 합을 추월했습니다.
애플 역시 훌륭한 제품이 큰 몫을 했지만 앱스토어를 도입한 후 노키아, 블랙베리를 크게 앞섰다.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어 고객에게 일방적으로 판매하는 비즈니스 모델보다 여러 이해 관계자들 간의 상호 작용을 촉진하고 거래비용을 줄이면서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플랫폼을 성공적으로 운영하는 기업이시장을 지배하며 급성장하였습니다.
2. 플랫폼 비즈니스 수익모델 패턴
플랫폼 비즈니스의 수익모델은 크게 중개수수료, 구독료, 광고료, 라이선싱, 아이템 판매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첫째, 중개수수료 모델은 애플의 앱스토어, 우버, 에어비앤비, 알리바바 등이 선택하고 있습니다.
애플은 앱스토어 입점을 신청한 앱을 검토한 후 입점을 승인하고, 유료 판매 시 수수료로 30%를 부과합니다. 일부 연간매출 100만달러를 밑도는 개발사들에게는 수수료를 15%로 인하해서 부과하지만 일반적으로 30%를 부과합니다.
우버의 경우도 드라이버가 벌어들인 매출의 20~30%를 중개수수료 명목으로 가져갑니다.
일반적으로 우버는 운전자에게 27.5%의 중개수수를 부과합니다.
세계 최대 숙박공유업체인 에어비앤비는 숙박을 예약한 게스트와 숙소를 빌려주는 호스트로부터 중개수수료를 받습니다.
대부분의 호스트는 예약 소계의 3%를 정률 서비스 수수료로 지불합니다. 예약 소계는 숙박 요금과 청소비를 합친 것이며, 게스트는 일반적으로 요금 소계의 14%가량을 서비스 수수료로 지불합니다.
또한 호텔 중개 업체인 호텔엔조이닷컴은 수수료 형태로 판매액의 7~20%를 가져가고 있다. 전 이처럼 중개수수료 모델은 플랫폼 비즈니스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수익모델입다.
두 번째, 구독료 방식은 제품이나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한번 또는 지속적으로 미리 지급하는 고객을 미리 확보하는 수익모델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채용에 특화된 버티컬 플랫폼인 링크드인은 기본적인 서비스는 무료로 제공하고 고급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리미엄구독료 형태의 수익모델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프리미엄 구독료는 월 22.99불부터 99.95불까지 과금이 되고 링크드인의 수익모델 중 프리미엄 구독료 매출의 비중은 약 18%를 차지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광고와 솔루션 부문에서 발생합니다.
세 번째는 광고입니다.
구글, 페이스북 등 많은 사용자 집단을 가진 플랫폼 기업의 경우 매출의 대부분이 광고수익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페이스북은 2015년 179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구글의 2015년 매출액 745억 달러의 90%가 광고에서 벌어들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네 번째는 라이선싱입니다.
라이선싱은 계약된 조건에 따라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 권리를 개인이나 기업에게 제공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예를 들어 아마존 웹서비스(AWS)는 기업이 대규모의 IT 인프라에 대한 투자 없이도 마치 전기처럼 사용한 만큼만 지불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AWS는 클라우드 분야에서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IBM을 합친 것보다 더 큰 규모로 성장했으며 AWS의 매출은 아마존의 전체 매출의 1/10 수준이나 영입이익은 전체의 30%를 상회하고 있습니다.
다섯 번째는 아이템 판매 방식으로 플랫폼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판매해 수익을 창출하는 모델로 카카오나 라인 같은 기업이 사용자 집단에 게임 아이템, 캐릭터 판매, 기프티콘 판매 등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