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차산업혁명 시대의 유통환경 연구/6. 유통, 유통업태

유통업의 정의 - 한국, 일본, 미국 비교

반응형

안녕하세요 소너본입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유통업의 정의에 대해 공부하고 공유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유통업의 정의를 한국, 일본, 미국에서는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통업 정의

 

우리나라 유통산업발전법에서는 유통산업을 전통적인 제품 도소매업에 국한하여 정의하고 있는데요.

유통산업이라 함은 농산물, 임산물, 축산물, 수산물 및 공산품 도매·소매 및 이를 영위하기 위한 보관 · 배송 · 포장과 이와 관련된 정보·용역 제공 등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을 말합다.

 

일본유통업에 대한 정의를 수립하는 데 있어서 사회적 경제적 기능을 중시하고 있습니다.

1965년 일본 통계심의회 유통통계부가 유통활동이라는 것은 물리적 또는 사회적인 '물건의 흐름'에 관한 경제활동"이라고 정의하였습니다.

유통을 용어 그대로 물건의 흐름을 통하여 생산과 소비를 연결하는 활동으로 규정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국가경제적 관점에서 상품 및 서비스가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로 유통 및 이전되면서 그 사용가치와 경제적 효용이 높아져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미국 경우에는 유통산업을 소비자 관점에서 정의하고 있습니다.

미국 유통산업은 소매중심으로 분류되며 소비자 접점에서 이루어지는 활동을 유통산업으로 간주합니다.

 

아래의 그림은 미국의 소매업태를 구분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요소는 바로 소매 믹스,

즉 소매업체가 고객의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요소들입니다.

 

소매 믹스의 상품의 형태, 상품의 다양성 및 구색, 고객서비스의 수준, 상품의 가격 이 네 가지 요소는 특히 소매업체를 분류하는데 유용합니다.

 

그래서 미국 같은 경우는 상품의 형태에 따라

Food Retailers 식품 소매업체, General Merchandise Retailers 일반상품 소매업체, Nonstore Retailers 무점포 소매업체

이렇게 나눌 수 있고

 

그 안에서 상품의 다양성과 구색의 전문성에 따라 슈퍼마켓(Save-a-lot), 수퍼센터(4~5천평 규모의 슈퍼마켓과 종합할인점을 합해 높은 소매업태-월마트, 타켓 등), 코스트코 같은 창고형 클럽, 편의점같은 업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상품 소매업체도 백화점, 슈 스토어 Foot Locker 같은 브랜드들이 미국에 굉장히 많이 있습니다.

퍼니쳐 스토어 이케아, 네브라스카 퍼니처마트 같은 브랜드들, 딕스 같은 스포츠 굿즈 스토어도 미국에 아주 보편화되어 있습니다.

전자제품매장 베스트바이 같은 매장들이나 CVS나 월그린같은 드럭스토어 도 미국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업태들입니다.

이렇게 미국의 유통산업은 소비자 관점에서 정의되고 소매중심으로 분류되며 소비자 접점에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 것을 화면의 소매업태 분류에서 확인하 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