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차산업혁명 시대의 유통환경 연구/6. 유통, 유통업태

유통의 기능

반응형

안녕하세요 소너본입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유통의 기능에 대해 공부해보고 공유하도록 하겠습니다.

 

3. 유통기능

유통기능은 생산과 소비의 조건이 어떠한 가에 따라 수집기능, 중계기능 및 분산기능의 3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는 수집기능입니다.

 

각각의 생산지로부터 생산물을 집하하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생산이 지방이나 해외에 분산된 경우, 농수산물의 경우와 같이 생산규모가 소규모인 경우에는 각 생산물을 매입하는 기능과 이를 위한 기관이 필요해집니다. 산지중개인, 산지도매상이나 협동조합이 이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둘째는 중개기능입니다.

 

수집과 분산의 중간단계에 있으며 이 두 가지를 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소비재분야에서는 대량생산과 그 분산도매상과의 사이에 거래를 하는 경우,

분산적 소규모생산의 농수산물 등의 수집도매상과 분산도매상과의 사이에 거래의 경우,

그리고 해외입지 조건이 관여하는 대량생산자와 대량소비자와의 거래의 경우에는

중계기능과 이를 위한 기관이 필요해 집니다.

 

수출입을 통해 국내의 유통기구를 해외의 유통기구와 연결하는 무역업자는 이 위치에 속합니다.

또한 농수산물을 취급하는 가락동 농수산물시장의 도매상도 여기에 해당됩니다.

 

 

세 번째는 분산기능입니다.

 

한 곳에 모인 생산물을 각 소비자나 수요자에게 배분하는 것을 말합니다.

소비지에서의 수요조건에 적합하게 생산물 크기를 조절하고 다품종의 상품구성으로 형성하는 기능입니다.

분산입지에서 다품종 소량다빈도구매의 욕구가 높아진 소비자에게 접근하기 위해서는 이 기능이 불가결합니다.

주로 도매업자나 소매업자가 이 역할을 담당합니다.

 

 

 

 

 

 

 

반응형

'4차산업혁명 시대의 유통환경 연구 > 6. 유통, 유통업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통업에서 소매업의 역할  (0) 2024.01.30
유통경로  (0) 2024.01.30
정보의 유통  (0) 2024.01.30
유통의 역할  (0) 2024.01.30
유통이란?..  (1) 2024.0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