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4차산업혁명 시대의 유통환경 연구/3. 4차산업혁명시대의 유통 대변혁

플랫폼 Platform(1) - 플랫폼의 의의와 전개

반응형

플랫폼의 의의

 

1. 플랫폼의 의의와 전개

 

우리가 아는 유수의 글로벌 기업들은 플랫폼 비즈니스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Google, Facebook, Airbnb, Uber, 삼성, 카카오, 네이버 등등 매일 매일 혁신적인 기업으로 회자되고, 네임밸류가 높은 기업들 대다수가 사실 플랫폼을 기반으로 어마어마한 매출을 내고 있습니다.

플랫폼의 의의

 

플랫폼(Platform)이란 단어는 본래 기차를 타고 내리는 물리적인 공간이나 강사, 지휘자, 선수 등이 사용하는 무대 또는 강단을 뜻하는 의미였으나 현재는 특정 장치나 시스템 등에서 이를 구성하는 기초가 되는 틀을 지칭하는 용어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오늘날 제조, 유통, 전자, IT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많은 기업들이 플랫폼 사업자를 궁극적인 목표로 삼고 있을 만큼 현 시대에서 플랫폼 전략은 기업에게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플랫폼이란?

 

따지고 보면 휴대폰 시장에서 존재감이 없던 애플노키아, 블랙베리, 모토로라 등 유수의 경쟁자들을 물리치고 스마트폰 시장의 강자로 군림하게 된 이유가 바로 앱 스토어(App Store)라는 플랫폼 전투에서 승리했기 때문입니다.

 

플랫폼의 성격을 규정하는 두 가지 키워드는 협력, 그리고 상생입니다. 플랫폼에선 누구나 공평하며 행복하다. 다수가 저마다 뚜렷한 역할을 갖고 참여하며, 협업을 전제로 자생합니다.

또한 각기 다르면서도 같은 운명 공동체를 형성한다. 플랫폼 기업 대다수가 설립 초기 폭발적인 성장에 성공할 수 있었던 건 플랫폼의 본질인 협력·상생 정신에 충실하게 운영됐기 때문입니다.

 

구글은 모든 참여자에게 자사 플랫폼을 개방하는 한편, 거기서 나오는 혜택을 나눴는데요. '동등한 연결'을 앞세운 페이스북, 클라우드에 기반한 아마존 역시 그 철학 아래 성장해왔습니다.

 

플랫폼의 가능성은 글로벌 석학들도 일찌감치 주목했다. 플랫폼 전략론의 권위자'로 꼽히는 안드레이 학주(Andrei Hagiu) 미국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 경영대학원 방문교수는 "()을 가진 자가 부의 미래를 지배한다"고 말했습니다.

 

일본 경제학자 오마에 겐이치 역시 “21세기 부()는 플랫폼에서 나온다"고 주장했습니다.

 

모든 플랫폼, 특히 서비스 플랫폼을 예로 들면 플랫폼의 성패를 좌우하는 건 얼마나 많은 사람이 연결될 수 있느냐'. 다시 말해 플랫폼 내 구성원 간 협력이 중요하단 얘기입니다.

물론 그 전제는 '원활한 소통'입니다. 이 같은 협력과 소통의 성과는 막대한데요. 기술과 규모, 서비스의 양과 질, 차별화와 경쟁우위, 시장 지배력과 표준으로서의 위치 등을 모두 가져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너도나도 플랫폼 사업에 뛰어드는 이유 역시 여기서 찾을 수 있습니다.

플랫폼이 '모든 걸 취할 수 있는 비즈니스의 장()으로 자리매김한 것 입니다.

 

과거 MS·구글·페이스북 등은 대부분 자사 서비스 특징에 적합한 오픈 API 정책을 도입, 빠르고 편리하게 사용자층을 확대해왔습니다. 이에 따라 소비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도 대부분 서드파티에 의해 개발됐습니다. 플랫폼을 보유한 기업이 너나없이 개발자 지원에 나선 것 역시 그 때문이다. 단순히 API를 개방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보다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개발자 지원 프로그램을 가동시킨 것입니다.

 

아마존, 이베이, 구글, 세일즈포스닷컴 등 수많은 미국의 다양한 포탈들은 자사의 데이터, 서비스, 솔루션을 공개하여 소비자가 이들을 조합하여 새로운 기능과 서비스들을 만들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도 네이버, 카카오 등이 Open API정책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Open API의 의미는 인터넷 이용자가 일방적으로 웹 검색 결과 및 사용자인터페이스(UI) 등을 제공받는 데 그치지 않고 직접 응용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도록 공개된 API를 말합니다. 지도 서비스 및 다양한 서비스에서 시도되고 있으며 누구나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Open API Timeline

 

 

 

 

오늘날 세상을 지배하는 플랫폼엔 몇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첫째, 하나같이 3차 산업혁명의 결과물입니다.

둘째, 막강한 힘을 지닌 채 관련 산업을 지배하고 있습니다.

셋째, 서드파티와 소비자 등 다수가 참여해 규모를 점차 키워갈 뿐 아니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넷째, 일부 주체의 통제 아래 자동화 공정에 따른 대량 생산이 이뤄지며 그 결과 분야별 강자가 존재하게 됐습니다.

 

하지만 해당 산업이 채 포화 상태에 이르기도 전, 더 작아지고 빨라지고 짧아지는 4차산업혁명의 특징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와 함께 다양하면서도 개개인에게 딱 맞춰진 서비스가 점차 강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변화의 기저엔 데이터가 존재합니다. 즉 기업과 산업, 개별 플랫폼 중심의 기존 구도가 '연결과 융합'을 축으로 하는 4차 산업혁명 코드를 만나 서비스와 플랫폼에서의 연결성을 지향하는 모양새입니다.

 

 

'작고 빠르며 가벼운, 그리고 단기간에 성취 가능한 특성은 4차 산업혁명기의 플랫폼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날 것이다. 크고 강한 단위 플랫폼보다 작은 플랫폼이 주목 받으며, 소규모 플랫폼 간 결합은 보다 융통성 있고 유연한 플랫폼을 탄생시킬 전망입니다. 미국 뉴스 웹사이트비즈니스 인사이더(Business Insider)’언급한 페이스북 플랫폼 서비스 구조처럼작지만 대등한 소()단위가 결합, 결국 자발적 구속을 거쳐 대형 플랫폼을 이루는형태가 대세로 자리 잡을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