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양면시장과 네트워크 효과
플랫폼 비즈니스는 오랫동안 존재해 왔습니다.
소비자와 생산자의 양면 시장(two-sided market)이 존재하고 이들을 매개한다는 측면에서 백화점도 플랫폼이고 신용카드 플랫폼입니다. 그렇지만 플랫폼 특성이 두드러지지 않았던 이유는 매개 비용(matching cost)이 높아 네트워크 효과 창출에 한계가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IT발달로 공급 및 수요 측면에서 매개 여건이 활성화되면서 플랫폼 비즈니스가 부상하고 있습니다.
공급 측면에서는 정보기술 덕분에 플랫폼을 구축하고 크게 확장하는 작업이 한층 단순하고 저렴하게 되면서 다양한 분야에서 플랫폼이 등장할 여건이 마련되었습니다.
수요 측면에서는 통신망 진화, 모바일 기기 확산 등으로 플랫폼 참여자의 종류와 규모가 대폭 확대되면서 플랫폼 비즈니스의 성장 기회는 더 많아지고 있습니다. 과거 불가능하던 기업간 개인간 협업과 상호작용이 가능해지면서 플랫폼의 범위, 속도, 편의성, 효율성이 크게 확대됨에 따라 플랫폼 비즈니스가 부상하게 된 것입니다.
플랫폼의 매력은 가치를 만드는 생산자와 그 가치를 사용하는 소비자가 자유롭게 만나고 연결되는 장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플랫폼 비즈니스의 특징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다양하게 연결되는 '양방향'에 있으며, 생산자와 사용자는 매우 랜덤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이를 양면시장(Two Sided Market)이라고 부릅니다.
양면시장은 서로 다른 성격의 이용자 집단이 플랫폼을 통하여 상호 작용함으로써 가치가 창출되는 시장입니다.
예를 들어 신용카드 시장의 두 이용자는 카드 이용자와 가맹점이고 카드사는 플랫폼 제공자입니다.
양면 시장 외에 다면 시장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새로운 금융상품에 가입하기 위해 은행을 찾아가는 모습은 선형적인 단면시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단면시장에서는 판매자가 구매자를 직접 상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반면 양면시장은 플랫폼 내에서 다양한 판매자와 구매자 간에 거래가 상시적으로 나타납니다. 양면시장은 우리 주위에서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신문사나 잡지사는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독자에게 콘텐츠를 제공하고 지면에 광고를 게재함으로써 대부분의 수익을 창출하는데 이는 전형적인 양면시장의 사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 신문사와 잡지사는 독자와 광고주라는 두 개의 다른 집단을 상대하고 양쪽을 연결하는 연결고리 역할을 함으로써 양쪽 고객 모두를 만족시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양면시장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가 필수적입니다. 네트워크 효과란 상태 집단의 크기가 클수록 보다 높은 이익이나 효용을 얻는 효과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2021년 페이스북의 월간 이용자수(active users)는 약 28억 명에 달합니다.
기업입장에서는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길목에 광고나 자사의 서비스가 노출되도록 한다면 마케팅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높은 광고비나 수수료를 지불하고서라도 페이스북 플랫폼에 들어가려고 할 것입니다.
이처럼 충성도가 높고 사용자수가 많은 한쪽 측면을 먼저 확보할 수 있다면 해당 플랫폼에 입점하려는 판매자 집단은 비교적 쉽게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플랫폼 비즈니스에 있어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4차산업혁명 시대의 유통환경 연구 > 3. 4차산업혁명시대의 유통 대변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통 산업의 거대 플랫폼 - ①구글 (0) | 2024.01.01 |
---|---|
플랫폼 비즈니스의 수익모델 (1) | 2024.01.01 |
플랫폼 Platform(3) -플랫폼의 유형과 가치 및 경쟁환경의 변화 (1) | 2023.12.30 |
플랫폼 Platform(1) - 플랫폼의 의의와 전개 (1) | 2023.12.30 |
파괴적 혁신 (1) | 2023.12.30 |